사업자 수익 모델
페이지 정보

본문
방치형 채굴이라 사용자 입장에선 매우 편하지만 운영자의 수익 모델이 궁금합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25-02-15 09:59:01 리뷰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박재완님의 댓글
박재완 작성일
저장소 비워서 금고로 이동저장 하거나 금시세예측을 하거나 채굴가방비울때(금덩이 팔 때) 등등에 광고 뜨죠?
일단 그것이 기본 밑바탕 수익원같아요.
얼마되지 않잖냐구요?
그래서 그런것들만 하면 보상률이 너무 미미하잖아요.
기본 채굴기 100%기준으론 1그램 캐는데 무려 274년이 걸릴 정도로 설계된....
한편 5만 다운로드 시점에서 앱 일일 최다출입자는 2만8천명 정도였습니다. 나머지 2만2천명은 잘 들어오지 않거나 앱깔고 조금 해보다가 탈퇴하고 지우고 나간 이들이겠지요. 이렇게 중도에 나간 이들이 깔짝깔짝 광고 잠여만 한 것도 업자가 고르란히 다 먹는데, 의외로 상당할겁니다.
그래서 채굴속도를 보다 올리려고, 가속, 급속, 광속, 고속 등에 참여하는 것도 다 광고업자와 계얔된 거고, 최장 30일 이후 모든 추가채굴기는 소멸하니 채굴속도를 유지관리하는 이들은 수시로 죽어라 꾸준히 광고미션에 참가해서 수익을 올려주겠지요.
추가 유료 채굴기 상품판매이익도 상당할겁니다. 지난달 말부터 보상물량을 많이 풀기 시작한 것도 이익이 워낙 많이 났으니 일종의 성과금 분배 개념으로 푸는 것이겠지요.